맑코에요.
제 포스팅에서 많이 보셨듯 전 2년 차 직장인이며 회사에서 안 좋은 일이 있을 때마다 '직장 때려치우고 유튜브나 해야지'라는 얘기를 밥 먹듯 합니다. 정작 전 제 유튜브를 시작하지 못했지만 포토샵을 할 수 있는 저는 많은 크리에이터 분들의 썸네일을 제작해주기도 하며 제일 많이 작업한 것이 바로 '누끼 따기'에요.
처음 유튜브를 시작하신 분들이 영상을 열심히 만들고, 썸네일을 만드시는 데 잘 만들어보려고 엄청나게 노력을 합니다. 하지만 썸네일을 잘 만들려면 누끼를 따야 하는데 포토샵을 사용할 줄 알아야 해서 꽤나 머리가 아픕니다. 그래서 오늘은 '포토샵 없이' 누끼를 따주는 사이트에 대해 소개해드리고, 사용법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겠습니다.
+ 간단한 유의사항도 내용에 포함되어 있으니 꼼꼼히 읽어보시길 바래요!
ㅡ
누끼 따주는 사이트
리무브 비지 (Remove.bg)
오늘 알려드릴 사이트는 바로 리무브 비지(Remove.bg)라는 사이트인데요. 사이트에 있는 설명처럼 이미지를 넣기만 해도 배경을 지워주는 아주 마법 같은 사이트입니다. 이런 사이트만 보면 세상 참 편해졌다고 느낄 때가 많은데 긴 설명 필요 없이 어떻게 하는지 사용법 먼저 알아보겠습니다.
첫 번째, 사이트에 접속하여 배경을 없애고 싶은 사진을 선택합니다.
배경을 제거하고 싶은 사진을 업로드해주면 됩니다. 이때 사진을 드래그 앤 드롭을 해주셔도 이미지가 문제없이 업로드되며 사진을 고르실 때 기왕이면 배경과 사물이 어느 정도 구분된 사진을 골라서 업로드시켜주시는 게 좋습니다. (사진의 파일 형식은 jpeg, png를 사용해주시면 됩니다.)
아무리 ai가 좋아졌어도 한계라는 게 존재하기 때문이지요. 번외로 포토샵에서도 자동으로 누끼 따주는 기능이 있지만 그렇게 완벽한 기능은 아닙니다.
두 번째, 누끼가 정상적으로 따졌다면 다운로드하여줍니다.
저는 전인류의 사랑, 고양이 사진을 가지고 누끼를 땃는데요. 보통 이렇게 누끼가 잘 따지는 사진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못한 사진들도 많은데 왜냐하면 '배경과 사물이 잘 구분되지 않은 사진'을 골랐기 때문입니다.
참고로 이 사이트에서 누끼를 따게 되면 원래의 사진 크기로 다운로드할 수 없습니다. (회원가입시 첫 장은 무료로 제공되지만..) 그 말은 즉, 화질이 낮은 누끼 이미지만 다운 받을 수 있다는 뜻이 되는데요. 본래의 사진 크기로 다운 받으려면 유료로 결제하여 사용해야 합니다.
제 생각엔 그렇게 고퀄리티의 이미지 작업을 하지 않는 이상 유료로 결제하여 사용하는 것은 딱히 유의미하다고 느껴지진 않네요. 누끼 작업을 많이 하시는 분들에겐 효과적일 순 있을 것 같습니다.
세 번째, 누끼가 제대로 따지지 않았다면 편집을 사용해줍니다.
이 사진에서 새만 남기고 다 지워버리고 싶었는데 나무와 새만 남아버린다면 애매한 이런 경우 무조건 있습니다. 이럴 때는 보통 리무브 비지 사이트에서 편집 기능을 많이 사용하는데요. 디테일하지는 않지만 이 편집 기능으로 세부적인 조정을 해주고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.
자, 이렇게 지우고 싶은 배경을 지워가며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어주시면 됩니다. 실수로 지우지 말아야 할 부분을 지우셨다면 복구 브러쉬로 원래대로 돌릴 수 있습니다.
오늘 이렇게 쉽고 간단하게 누끼 따는 사이트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. 포토샵에서 하는 것만큼 디테일하지는 않지만 무료 사이트 치고 최상의 퀄리티를 자랑하는 것 같습니다. 오늘 포스팅이 여러분이 썸네일을 아주 쉽고 효과적으로 만드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'자취생의 취미생활 > 유튜브 추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업 유튜버? 반드시 망하는 이유 (feat. 구독자 3만 명 채널 보유자) (0) | 2021.03.04 |
---|---|
유튜브 구독자 늘리는 법, 전 39만명 채널 편집자 였던 사람이 알려주는 떡상의 비밀 [1편] (0) | 2021.01.11 |
유튜브 수익 계산기, 유튜버들의 예상 수익이 이 정도 밖에 안돼? 😅 (0) | 2021.01.06 |
월 1,000만원? 독거노총각님의 수입을 알아보자 ✨ (0) | 2020.12.30 |
[빠니보틀] 여행 유튜버 추천 1순위, 빡세게 세계여행 빠니보틀 🥔 (0) | 2020.12.29 |
댓글